kill -9 PID pid번호와 -9옵션으로 종료한다.
리눅스 시간개념 # atime (access time) 파일을 열어본 시간, 디렉토리 내용을 확인해본 시간 # mtime (modification time) 파일 내용이 변경된 시간, 디렉토리 내용이 변경된 시간 # ctime (creation time) 파일 속성이 변경된 시간, chmod나 chown등으로 파일의 속성이 변경된 시간 # ls -l 파일의 생성시간 # ls -ult 파일의 사용시간, 파일의 atime # ls -clt 파일의 최근 변경시간, 파일의 ctime # ls 명령어 옵션 -R : 서브디렉토리와 모든 파일들 출력 -r : 파일명, 디렉토리명을 내림차순으로 출력 -S : 파일사이즈를 내림차순으로 출력 -l : 자세하게 출력 -a : 모든 파일들 출력 -A : .와 ..는 제외 -h : 용량단위 출력 -n : UID, GID 출력 -F : 파일형태를 표시하는 특수문자 출력 * : 실행파일 / : 디렉토리 @ : 심볼릭링크 | : FIFO파일 = : 소켓파일 -X : 확장자 없는 파일 먼저 출력, 오름차순으로 출력 -U : 디스크에 저장된 순서대로 출력
몇번 부팅레벨로 부팅할지 결정 /etc/inittab → id:3:initdefault: 부팅레벨 0 : 시스템종료 /etc/rc.d/rc0.d/ 부팅레벨 1 : 싱글모드(관리모드), 콘솔로그인만 가능하고 root만 사용함 /etc/rc.d/rc1.d/ 부팅레벨 2 : NFS 지원하지 않는 멀티유저 실행모드 /etc/rc.d/rc2.d/ 부팅레벨 3 : NFS 지원 멀티유저 실행모드 /etc/rc.d/rc3.d/ 부팅레벨 4 : 사용하지 않음 /etc/rc.d/rc4.d/ 부팅레벨 5 : X윈도우 환경 멀티유저 실행모드 /etc/rc.d/rc5.d/ 부팅레벨 6 : 재부팅 /etc/rc.d/rc6.d/ 부팅레벨 변경 : init 0~6 레벨 확인 : runlevel 부팅레벨기록 : runlevel
◎ useradd 명령어 옵션 설명 -u uid : 사용자 ID를 지정-g gid : 그룹이름이나 GID를 지정-d dir :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의 절대 경로지정-c comment : 패스워드 파일에 기재할 주석문을 넣을때 사용-m :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가 없는 경우 생성-k : 홈 디렉토리에 저장될 각종 정보를 포함시킬 디렉토리 지정-s : 사용자가 사용할 쉘을 지정 ◎ useradd 환경을 설정하는 파일들1. /etc/default/useradd2. /etc/login.defs3. /etc/skel/모든파일 1. [/etc/default/useradd]useradd 의 기본파일, useradd 로 계정 생성시에 어떤 환경과 어떤 파일들을 참조하여 새로운 계정을 생성할 것인가 # cat /etc/default/useraddGROUP=100 // 기본 등록 그룹의 GIDHOME=/home // 홈디렉토리 경로INACTIVE=-1 // 패스워드 종료일 이후의 유효(기간)여부 설정 (0, -1, 1 이상의 숫자)EXPIRE= // 계정 종료일자 지정SHELL=/bin/bash // 기본사용자 쉘SKEL=/etc/skel // 홈디렉토리에 복사할 기
CommandFirefoxInternet ExplorerOperaBackShift+Scroll downShift+Scroll downShift+Scroll downClose TabMiddle-click on Tab 1Feature Not AvailableShift+Left-clickDecrease Text SizeCtrl+Scroll upCtrl+Scroll upCtrl+Scroll upForwardShift+Scroll upShift+Scroll upShift+Scroll upIncrease Text SizeCtrl+Scroll downCtrl+Scroll downCtrl+Scroll downNew TabDouble-Click on Tab BarFeature Not AvailableDouble-Click on Tab BarOpen in Background TabCtrl+Left-click 2 Middle-clickFeature Not AvailableCtrl+Shift+Left-click Middle-clickOpen in Foreground TabCtrl+Shift+Left-click 2 Shift+Middle-click 2Shift+Left-clickO
# 한대의 리눅스에서 여러개의 IP주소 할당하여 사용하기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 파일을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0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1 과 같은 방식으로 복사한다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1 파일을 수정하는데 DEVICE=eth0:1로 수정하고 IPADDR=설정하려던 아이피로 수정한다. 네트워크를 재시작하면 완료. 두개, 세개의 아이피를 동시에 사용하려면 위와 같은 방식으로 계속 추가하면 되겠다. 추가한 아이피를 삭제할 경우엔 해당 이더넷을 다운시키면 된다. ifconfig eth0:0 down 으로 삭제할 수 있다.
ftp 기본 함수 list ftp_alloc / ftp_cdup / ftp_chdir / ftp_chmod / ftp_close / ftp_connect / ftp_delete ftp_exec / ftp_fget/ ftp_fput / ftp_get_option / ftp_get / ftp_login / ftp_mdtm ftp_mkdir / ftp_nb_continue / ftp_nb_fget / ftp_nb_fput / ftp_nb_get / ftp_nb_put ftp_nlist / ftp_pasv / ftp_put / ftp_pwd / ftp_quit / ftp_raw / ftp_rawlist /ftp_rename ftp_rmdir / ftp_set_option / ftp_site / ftp_size / ftp_ssl_connect / ftp_systype
XCache http://xcache.lighttpd.net/
vi 색깔 나오게 하기 yum -y install vim-enhanced vi /root/.bashrc alias vi='vim'
ls 명령어 주요 옵션 사용형식 : ls [옵션] [디렉토리] [파일] -R : 지정 디렉토리 하위까지 표시 -r : 출력결과 정렬시 내림차순 정렬(Descending) -S : 파일 사이즈가 제일 큰 것 부터 정렬 -l : 파일 나열시 자세한 출력 -a : 경로안의 모든 파일 나열 ('.'으로 시작하는 파일도 동일) -A : 출력결과중에 . .. 제외 -h : 파일사이즈 용량단위(MB)를 붙여서 출력
# httpd 소스 설치 tar xvfpz httpd-2.0.63.tar.zcd httpd-2.0.63 # apache + 64bit problemrm -f configurerm -f srclib/apr-util/configure./buildconf ./configure --prefix=/opt/webapps/apache2 --enable-so --enable-ssl --with-ssl=/usr --enable-lib64 --libdir=/usr/lib64 --enable-cache --enable-deflate --enable-proxy --enable-mem-cache --enable-expires --enable-rewrite --enable-mods-shared=mod_rewrite --enable-security --with-module=proxy:mod_security.c makemake install mkdir /var/log/httpdchmod 711 /opt/webappschmod 755 /opt/webapps/apache2chmod 644 /opt/webapps/apache2/conf/*chmod 600 /opt/
mysql replication 동기화 늦어지는 문제 skip-networking 옵션값을 off시켜야 한다. # etc/my.cnf 파일에서 아래처럼 주석처리 하면 된다. #skip-network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