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원을 삭제할 때는 ipcrm 라는 명령어 # 필요성 특정 프로세스가 가지고 있던 자원들을 해제하지 않으면서 생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DBMS에 대해서 kill을 했지만, IPC 자원을 해제않는 경우를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서 자원이 낭비되고, 이런식으로 계속 문제가 되면, 시스템 전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apache 데몬의 경우 restart를 했는데, 다음과 같이 세마포를 계속 가지고 있을 수 있다. ------ Semaphore Arrays -------- key semid owner perms nsems 0x00000000 13434880 www 600 1 0x00000000 13467649 www 600 1 0x00000000 13500418 www 600 1 0x00000000 13533187 www 600 1 0x00000000 13565956 www 600 1 ipcs -s |sed "/em/d" | for i in `awk '{print $2}'` ; do ipcrm sem $i ;…
# IPC(Inter Process Communication)는 message queue( q), shared mem ( m), semaphore (s)의 자원의 현황을 알려준다. # ipcs - provide information on ipc facilities # SYNOPSIS ipcs [ -asmq ] [ -tclup ] ipcs [ -smq ] -i id ipcs -h # IPC 모든 타입에 대한 리소스 정보 출력 # ====================================================================== # # ipcs ------ Shared Memory Segments -------- key shmid owner perms bytes nattch status 0x00000000 3407872 nobody 600 328 11 dest 0x00000000 3440641 root 600 524288 11 dest 0x00000000 1998850 root 600 184324 11 dest…
vi 명령모드에서 sed 사용법 ■ 특정단어가 들어간 경우 삭제 :g/word/d 혹은 :%g/word/d ■정확히 맞는 단어가 들어간 경우만 삭제하기 :g/<word>/d
관리자가 원하는 작업을 예약해두고 정해진 시간에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실행할수 있다.crond 이라는 데몬을 설치하여 실행되어야 한다. crond에서 d는 데몬을 의미한다.데몬이란?백그라운드로 실행 되어 있다가 네트 워크를 통해 클라이언트의 여러가지 요청에 서비스하기위해 설치하는 서버 프로그램이다. 단독으로 실행되는 것들도 있고, 데몬들을 여러가지 서비스등을 한꺼번에 관리하는 슈퍼 데몬이 있다. cron 작업을 위해선 crontab 명령어를 사용해야한다.반복적인 작업을 설정하는 명령어 형식crontab [-u 유저명] [옵션] 옵션-u 유저명 : 작업을 실행시킬 유저명을 설정한다.-l : 사용자가 crontab에 등록한 작업리스트 출력-r : 사용자가 crontab에 등록한 작업을 삭제.-e : crontab에 작업 등록한다. crontab명령어 사용이외에도 /etc/crontab에서 vi명령어를 이용한 자체 내용수정으로도 작업가능하다.
# Apache 설치경로 : /opt/webapps/apache2/ 환경설정 파일 : /opt/webapps/apache2/conf/httpd.conf 가상호스트 : /opt/webapps/apache2/conf/vhosts.conf 시작 astart 중지 astop # mysql 설치경로 : /opt/webapps/mysql5/ mysql데이터디렉토리 : /var/lib/mysql5/ 환경설정 파일 : /etc/my.conf 시작 : /etc/ini.d/mysqld start 중지 : /etc/ini.d/mysqld stop #php 설치경로 : /opt/webapps/php5/ 환경설정 파일 : /opt/webapps/php5/etc/php.ini
암호 인증을 위해 설정해야할 내용들 1. httpd.conf 파일의 암호인증 허용설정 2. 암호인증할 디렉토리내에서의 .htaccess 파일 생성 3. 암호인증할 사용자들의 ID와 암호가 저장된 .htpasswd 파일 생성 4. 웹브라우저에서 암호인증 테스트 5. 로그인 사용자 추가 생성 1. httpd.conf 파일의 암호인증 허용설정 <Directory "/home/www/public_html"/> AllowOverride AuthConfig // AuthConfig 값 설정 </Directory> AccessFileName .htaccess // 인증파일로 사용할 파일 설정 2. 암호인증할 디렉토리내에서의 .htaccess 파일 생성 암호인증을 하고자하는 디렉토리내에 vi로 생성 (/home/www/public_html/.htaccess) ① 특정 유저들만 인증하기 위한 방법 AuthType Basic // 인증방식 (보통 Basic 사용) AuthName "Input Password" // 인증창 이름 AuthU
[root@~ ]# dumpe2fs /dev/sda5 | grep superblock dumpe2fs 1.39 (29-May-2006) Primary superblock at 0, Group descriptors at 1-1 Backup superblock at 32768, Group descriptors at 32769-32769 Backup superblock at 98304, Group descriptors at 98305-98305 Backup superblock at 163840, Group descriptors at 163841-163841 Backup superblock at 229376, Group descriptors at 229377-229377 Backup superblock at 294912, Group descriptors at 294913-294913 Backup superblock at 819200, Group descriptors at 819201-819201 Backup superblock at 884736, Group descriptors at 884737-884737 Backup superblock at 1605632, Gr
디렉토리 압축 zip -rF "저장파일명.zip" " 디렉토리 및 파일명" -r : 서브디렉토리까지 압축 -F : 한글파일을 포함하여 압축 압축해제 unzip 파일이름.zip…
주요 로그파일들은 /var/log 라는 디렉토리에 기록된다. /var/log/maillog메일과 관련된 로그를 기록한다. 이 파일을 이용하여 메일이 오고간 시간, 호스트, 데몬, 유저, 크기 등을 확인 할수있다. /var/log/messages메일, 뉴스등을 제외한 전체적인 로그를 기록하는 파일이다. /var/log/secure유저에대한 접속 정보를 기록한다. /var/log/lastlog계정 사용자들이 마지막으로 로그인한 정보들을 기록한다.가록된 사항들은 lastlog명령어를 사용하여 확인 할 수있다. /var/log/boot.log 부팅시 서비스 데몬들의 실행 상태를 기록하는 파일이다. /var/log/dmesg 시스템이 부팅할때 출력되는 메시지들이 기록된다. dmesg 명령어로 확인가능. /var/log/cron cron과 관련된 메시지들이 저장된다. 이 파일을 통해 예약한 작업이 정상적으로 실행되고 있는지 확인 할 수있다. /var/log/wtmp 사용자들이 접속한 정보를 기록한다. 로그의 확인은 last명령어를 이용하여 전체접속정보를 확인가능.특정 사용자의 정보를 확인하려면 'last 사용자명'을 입력한다. /var/log/xferlog FTP서버의
/etc/resolv.conf - 해당 호스트에서 인터넷상의 도메인을 찾아갈때 도메인주소로 질의하면 IP로 변환해주는 dns서버를 지정해주는 설정 파일이다.먼저 /etc/hosts에서 해당 도메인의 ip를 확인하고 없는 경우 resolv.conf에 지정된 dns서버에 도메인 네임을 물어본다. 리졸버란?-dns의 클라이언트이다.호스트 정보를 구하는 프로그램의 요청을 네임 서버에 대한 질의 형태로 확인하고 그 질의에 대한 응답을 프로그램에게 적절한 형태로 변경하는 역할을 한다.
www.abcd.com/~kbs www.abcd.com/kbs ~ 없애려면 httpd.conf 파일에서 Alias /kbs/ "/home/www/kbs/" 추가
◎ hwclock : 하드웨어시간, 메인보드에 있는 CMOS의 시간(ROM-BIOS에서 인식하고 있는 시간) *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시간 둘다 재설정 가능 # hwclock -w : 운영체제 시간을 참조해서 하드웨어 시간 재설정 # hwclock -s : 하드웨어 시간을 참조해서 운영체제 시간 재설정 ◎ date : 리눅스시스템의 시간, 리눅스커널의 시간 * 소프트웨어 시간만 설정 가능 # date MMDDhhmmCCCC ※ 운영체제가 부팅시 마다 하드웨어의 시간을 가져와서 적용 ◎ rdate : 지정한 원격타임서버의 시간과 운영체제 시간을 동기화 # rdate -p time.bora.net : 시간값 확인 # rdate -s time.bora.net : 동기화 - 시스템 재부팅할 때마다 동기화 [/etc/rc.d/rc.local] /usr/bin/rdate -s time.bora.net /sbin/hwclock -w ◎ cron 으로 동기화 00 01 * * * su - root /usr/bin/rdate -s time.bora.net && /sbin/hwclock -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