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cftp 사용법 ncftp open -u 유저명 호스트 # 파일 하나 가져오기 get index.html # 여러개의 파일을 한꺼번에 가져오기 get *.html # 서브디렉토리를 포함한 디렉토리전체를 한꺼번에 가져오기 get -R * # 파일 하나 업로드 put index.html # 여러개의 파일을 한꺼번에 업로드 put *.html # 서브디렉토리를 포함한 디렉토리전체를 한꺼번에 업로드 put -R *
# 리눅스에서(centos) RSA/DSA 키와 함께 sftp 사용하기 sftp에 접속 후 대화형 sftp 명령어는 하단에 있음 일반적으로 키 파일을 사용하여 접속할땐 -i 옵션을 활용하면 된다. sftp -i {/path/keyfile} {USER}@{HOST} sftp -i key.pem user@s-abe6c967rtdssfsfb.server.transfer.us-east-1.amazonaws.com 만약 -i 옵션을 사용할 수 없다면 -o 옵션을 사용하면 된다. sftp -oIdentityFile={/path/keyfile} {USER}@{HOST} sftp -oIdentityFile=key.pem user@s-abe6c967rtdssfsfb.server.transfer.us-east-1.amazonaws.com 특정 포트로 접속하는 경우 옵션 sftp -oPort=22222 -oIdentityFile=key.pem user@s-abe6c967rtdssfsfb.server.transfer.us-east-1.amazonaws.com -o 옵션 정리 AddressFamily BatchMode BindAddress ChallengeResponseAuthen
자원을 삭제할 때는 ipcrm 라는 명령어 # 필요성 특정 프로세스가 가지고 있던 자원들을 해제하지 않으면서 생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DBMS에 대해서 kill을 했지만, IPC 자원을 해제않는 경우를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서 자원이 낭비되고, 이런식으로 계속 문제가 되면, 시스템 전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apache 데몬의 경우 restart를 했는데, 다음과 같이 세마포를 계속 가지고 있을 수 있다. ------ Semaphore Arrays -------- key semid owner perms nsems 0x00000000 13434880 www 600 1 0x00000000 13467649 www 600 1 0x00000000 13500418 www 600 1 0x00000000 13533187 www 600 1 0x00000000 13565956 www 600 1 ipcs -s |sed "/em/d" | for i in `awk '{print $2}'` ; do ipcrm sem $i ;…
# IPC(Inter Process Communication)는 message queue( q), shared mem ( m), semaphore (s)의 자원의 현황을 알려준다. # ipcs - provide information on ipc facilities # SYNOPSIS ipcs [ -asmq ] [ -tclup ] ipcs [ -smq ] -i id ipcs -h # IPC 모든 타입에 대한 리소스 정보 출력 # ====================================================================== # # ipcs ------ Shared Memory Segments -------- key shmid owner perms bytes nattch status 0x00000000 3407872 nobody 600 328 11 dest 0x00000000 3440641 root 600 524288 11 dest 0x00000000 1998850 root 600 184324 11 dest…
vi 명령모드에서 sed 사용법 ■ 특정단어가 들어간 경우 삭제 :g/word/d 혹은 :%g/word/d ■정확히 맞는 단어가 들어간 경우만 삭제하기 :g/<word>/d
etc/hosts 파일은 localhost의 리졸버들이 사용하는파일이다 'localhost의 리졸버'의 의미는 localhost의telnet, mozilla, ftp, stmp, ... 등등 localhost가 원격의 어떤호스트에 접속하기 위해서 '호스트->IP'로 변환해 주는 테이블입니다.원격의 호스트가 사용하지 않고 localhost의 모든 리졸버가 사용하고실시간으로 변경된 /etc/hosts 파일을 확인해서 사용합니다. dns서버의 질문하여 목적지를 찾기전에 /etc/host 파일에 목적지 도메인주소의 ip주소를 입력해놓으면먼저 hosts파일의 내용을 참조한다. [root@web etc]# cat hosts# Do not remove the following line, or various programs# that require network functionality will fail.127.0.0.1 web localhost.localdomain localhost::1 localhost6.localdomain6 localhost6[root@web etc]# ll hosts-rw-r--r-- 1 root root 191 No
top 명령어 프로세스의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 할수있다.top [옵션]-d 시간 : 화면 갱신 주기-c : 생략된 명령어 전체 표시 top실행중 명령어q : top프로그램 종료숫자 1 : cpu(s)로 표시되어 평균값만 출력하는데 1을 눌러 각각의 cpu 사용량을 볼수 있다.스페이스바 : 프로세스 상태 갱신 예top - 14:32:44 up 217 days, 12:45, 1 user, load average: 0.00, 0.02, 0.00Tasks: 140 total, 1 running, 139 sleeping, 0 stopped, 0 zombieCpu(s): 0.5%us, 0.0%sy, 0.0%ni, 99.5%id, 0.0%wa, 0.0%hi, 0.0%si, 0.0%stMem: 8126608k total, 5693960k used, 2432648k free, 468156k buffersSwap: 4192924k total, 1632k used, 4191292k free, 3898592k cached PID USER PR NI VIRT RES SHR S %CPU %MEM TIME+ COMMAND 1 root 15 0
cp 명령어 옵션 -a : 가능한 한 원 파일의 구조와 속성을 그대로 복사한다. -S : 복사할 때 덮어쓰게 되는 파일은 백업을 만들면서 확장자 지정 (-S=확장자) -d : 심볼릭 링크는 심볼릭 링크로 복사한다. 그리고 원본 파일과의 하드 링크 관계를 유지한다. -f : 복사 위치에 존재하는 파일을 제거하고 복사한다. -i : 복사 시 같은 이름의 파일이 존재한다면 덮어쓸 것인가 확인한다. -P : 원본 파일의 소유자, 그룹, 권한, 시간 기록을 그대로 복사한다. -R , -r : 파일과 하위 디렉토리에 포함된 파일 모두를 복사한다. -u : 변경날짜를 비교해 최신파일일 경우 복사 안함
# LoadModule rewrite_module module/mod_rewrite.so 아파치를 DSO방식으로 설치했을때 모듈을 로드하는 지시자 # LockFile logs/accept.lock → USE_FCNTL_SERIALIZED_ACCEPT 또는 USE_FLOCK_SERIALIZED_ACCEPT를 사용하여 컴파일되었을 때 사용되는 잠금 파일로의 경로. 잠금 파일의 값은 반드시 로컬 디스크에 저장되어야 함. 잠금파일 : 어떤 프로세스에서 사용중인 파일을 다른 프로세스가 함부로 변경하지 못하도록 함 httpd.lock : 웹서버가 떠 있다는 걸 알려s는 파일, 지금 웹서버 데몬이 돌고 있으니, 다른 웹서버 데몬은 돌지 말라. # PidFile logs/httpd.pid 아파치가 시작될 때 자신의 프로세스번호(PID)를 기록하는 파일 # User daemon // 리눅스 시스템에서 0~499까지 UID와 GID를 사용하므로 # Group daemon // 500번 이상의 UID와 GID를 가지는 계정으로 설정 서비스를 직접 담당하는 아파치자식프로세스들의 실행소유자와 소유그룹 (n
패스워드에 lock 걸어 잠그기 [root@push06 skel]# passwd -l kbs Locking password for user kbs. passwd: Success [root@push06 skel]# grep kbs /etc/shadow kbs:!!$1$aPkNiTws$ZV5bM4sc48RINJ0vK5U3f0:15947:0:99999:7::: [root@push06 skel]# passwd -u kbs Unlocking password for user kbs. passwd: Success.
vi 형식v [대상파일이름] 설명vi는 3가지 모드가 있다.명령모드 : vi를 처음 실행한 상태.명령어를 통해 단어를 찾거나 지우거나.실행취소등..할수있다.-dd : 현재 커서가 위치한 한 라인 전체 삭제.-p : 아래쪽으로 붙여넣기-dw : 커서가 위치한 곳의 한단어 삭제-x : 커서가 위치한 문자 삭제.한글자씩.-R : 커서가 위치한 곳의 글자 교체.~ : 커서가 위치한 곳부터 대/소문자 변경-u : 실행취소- . : 이전명령실행-?단어 : 내용에 포함된 단어 검색-y : 한 글자 복사-yy : 현재 라인 복사-l : 오른쪽으로 이동-h : 왼쪽으로 이동-k : 위로 이동-j : 아래로 이동-w : 한단어 앞으로 이동-b : 한단어 뒤로 이동-0 : 문서의 맨 앞으로 이동-e : 단어의 마지막글자로 이동 편집모드 : 명령모드에서 i o a s 등을 눌러 파일 내용을 편집할수 있는 상태. esc를 누르면 명령모드로 돌아간다.-i : 커서가 있는 문자 앞에서부터 입력-l : 현재 줄에서 제일 처음부터 입력-a : 커서가 위치한 문자 뒤에서 부터 입력 -A : 현재줄에서 맨 뒤부분부터 입력-o : 현재 줄 한칸 아래에서 부터 입력-O : 현재줄 한칸 위에서부
chkconfig : 시스템 부팅시 런레벨에 따라 자동 실행되는 데몬들을 알수있고, 특정 데몬을 추가,수정할수 있다 chkconfig [옵션] 데몬명 [on/off] chkconfig --list : 현재 데몬들의 목록을 출력chkconfig --level 35 데몬명 on(off) 예root@hosting01:~# chkconfig --level 35 xinetd on root@hosting01:~# chkconfig --listNetworkManager 0:off 1:off 2:off 3:off 4:off 5:off 6:offacpid 0:off 1:off 2:on 3:off 4:on 5:on 6:offanacron 0:off 1:off 2:on 3:off 4:on 5:on 6:offxinetd 0:off 1:off 2:off 3:on 4:on 5:on 6:off root@hosting01:~# chkconfig --level 35 xinetd off root@hosting01:~# chkconfig --listNetworkManager 0:off 1:off 2:off 3:off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