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P 버전 : 4.3.10 LIBS="-lpthread" LDFLAGS="-lpthread" CFLAGS="-O3 -funroll-loops -mcpu=i686 -march=i686 -fomit-frame-pointer" CXXFLAGS="-O3 -funroll-loops -mcpu=i686 -march=i686 -fomit-frame-pointer" ./configure --with-apxs=/usr/local/apache/bin/apxs (이곳 경로는 아파치 설치 경로를 참고할 것) --with-config-file-path=/usr/local --enable-module=so --enable-trans-sid --enable-track-vars --with-zlib-dir=/usr/lib --with-zlib --enable-ftp --enable-calendar --enable-exif --with-mcrypt --with-mysql --disable-debug --enable-inline-optimization --enable-mailparse --with-gd=/usr/local/gd
CommandFirefoxInternet ExplorerOperaBackShift+Scroll downShift+Scroll downShift+Scroll downClose TabMiddle-click on Tab 1Feature Not AvailableShift+Left-clickDecrease Text SizeCtrl+Scroll upCtrl+Scroll upCtrl+Scroll upForwardShift+Scroll upShift+Scroll upShift+Scroll upIncrease Text SizeCtrl+Scroll downCtrl+Scroll downCtrl+Scroll downNew TabDouble-Click on Tab BarFeature Not AvailableDouble-Click on Tab BarOpen in Background TabCtrl+Left-click 2 Middle-clickFeature Not AvailableCtrl+Shift+Left-click Middle-clickOpen in Foreground TabCtrl+Shift+Left-click 2 Shift+Middle-click 2Shift+Left-clickO
arp 명령어는 Address Resolution Protocol의 약자로써, arp cache에 있는 IP 어드레스에 대한 HW 어드레스(대게 MAC 어드레스란 표현을 많이 사용한다)를 돌려주는 명령어이다. 이 HW 어드레스는 6 바이트로 구성되어지는데, 처음 3 바이트는 제조 벤더에 대한 교유 번호이고, 나머지 3개는 제품 일련 번호라고 한다. 결국 이 6개의 바이트는 전세계에서 유일무이한 번호가 되는데, 논리적인 IP어드레를 물리적이고 고유한 컴퓨터에 맵핑시키기 위해서는 아주 중요한 존재이다. 명령어 형식 : arp [OPTION] 옵션 -e : arp 캐쉬에 있는 HW어드레스를 리눅스 스타일로 표히 -s host HW어드레스 : arp 캐쉬에 새로운 HW어드레스를 저장 -d : arp 캐쉬에 HW어드레스를 삭제 실행 예 [root@linux root]# arp -e Address HWtype HWaddress Flags Mask Iface 192.168.10.1 ether 00:0E:E8:04:45:77 C eth0 192.168.10.21 ether 00:E0:91:04
top 실행시 나타나는 필드에 대한 설명 PID : 프로세스 ID USER : USER PRI : 우선 순위 NI : NICE 값 SIZE : 실제 사용 메모리 RSS : 물리적 메모리(할당된 메모리, 실제 사용하는 메모리와 다소 차이가 있음) SHARE : 공유 메모리 크기 STAT : 프로세스 상태 %CPU : CPU사용 비율 %MEM : MEMORY사용 비율 TIME : CPU이용시간 CPU : 모름 COMMAND : 수행되는 명령어 실제 내용 PID USER PRI NI SIZE RSS SHARE STAT %CPU %MEM TIME CPU COMMAND 1 root 15 0 472 472 424 S 0.0 0.0 0:04 0 init [3] 2 root 15 0 0 0 0 SW 0.0 0.0 0:00 0 keventd 3 root 15 0 0 0 0 SW 0.0 0.0 0:00 0 kapmd 4 root 34 19 0 0 0 SWN 0.0 0.0 0:00 0 kso
현재 랜카드 전송속도 구하기 sar -n DEV 2 3 2초간 총 3번 조사하고, 평균값 마지막 출력하기 참고 http://perso.wanadoo.fr/sebastien.godard/use_sar.html
############################# # 하드추가와 파티션 나누기 # 2005. 5. 11 이황배 # kosthb@gmail.com ############################# [root@112s /]# fdisk /dev/sdc ==> 세번째 하드 추가/파티션나누기 The number of cylinders for this disk is set to 4462. There is nothing wrong with that, but this is larger than 1024, and could in certain setups cause problems with: 1) software that runs at boot time (e.g., old versions of LILO) 2) booting and partitioning software from other OSs (e.g., DOS FDISK, OS/2 FDISK) Command (m for help): p ==> 하드 상태를 본다 "p" 엔터 isk /dev/sdc: 255 heads, 63 sectors, 4462 cylinders Unit
############################# # 하드추가와 파티션 나누기 # 2005. 5. 11 이황배 # kosthb@gmail.com ############################# [root@112s /]# fdisk /dev/sdc ==> 세번째 하드 추가/파티션나누기 The number of cylinders for this disk is set to 4462. There is nothing wrong with that, but this is larger than 1024, and could in certain setups cause problems with: 1) software that runs at boot time (e.g., old versions of LILO) 2) booting and partitioning software from other OSs (e.g., DOS FDISK, OS/2 FDISK) Command (m for help): p ==> 하드 상태를 본다 "p" 엔터 isk /dev/sdc: 255 heads, 63 sectors, 4462 cylinders Unit
## GD 라이브러리 설치 cd /usr/local 1. gd 파일을 다운받는다. 2. 압축을 해제한다. 3. 압축 해제한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LIBS="-lpthread" LDFLAGS="-lpthread" CFLAGS="-O3 -funroll-loops -mcpu=i686 -march=i686 -fomit-frame-pointer" CXXFLAGS="-O3 -funroll-loops -mcpu=i686 -march=i686 -fomit-frame-pointer" ./configure --prefix=/usr/local/gd make make install
# 하위 디렉토리까지 전부 변경된다. perl -p -i -e 's/변경될문자열/변경할문자열/g' 파일명
사용자 홈디렉토리에 .vimrc 파일을 연다. syntax on set background=dark set tabstop=4 <=== 이 부분을 원하는 글자수로 수정한다. .vimrc파일이 없는경우 홈디렉토리에 .vimrc파일을 새로 생성하면 된다. syntax on set background=dark set tabstop=4 위와같이 추가하면 된다.
configure에 --with-jpeg --with-png가 있으면 관련 라이브러리를 찾습니다. 그러나 lib64를 사용하는 경우 관련 라이브러리가 /usr/lib가 아니라 /usr/lib64에 있게 되어 찾지를 못한다. make시에 에러 남 가장 간단한 해결책은 configure시에 위치를 아래와 같이 지정하고 --with-jpeg-dir=/usr/lib64 --with-png-dir=/usr/lib64 /usr/lib64에서 아래의 명령으로 심볼링크를 걸어두면 된다 /usr/lib64]# ln -s /usr/lib64 lib /usr/lib64]# ln -s /usr/include include
우리가 압축파일을 풀 때 디렉토리가 생길 지 알고 풀었더니 디렉토리가 생기지 않고 파일들이 모두 풀려서 황당한 경우가 있었을 겁니다. 이때 일일이 삭제를 해야하는 데 번거로울 때가 있습니다. 아래는 이때 사용하실 수 있는 유용한 팁입니다. 1. tar로 묶여있는 파일일 경우... # rm -rf `tar -tvf 문제화일.tar|awk {'print $6'}` 여기서 주의할 점으로 처음과 끝에 있는 `는 물결무늬에 있는 것이고. 그리고 가운데 있는 '는 작은 따옴표입니다. 주의하시길... 2. tar.gz 혹은 tgz 파일일 경우... # rm -rf `tar -tvzf 문제화일.tar|awk {'print $6'}` 3. bzip2 파일일 경우... # rm -rf `tar -tvlf 문제화일.tar|awk {'print $6'}` 이렇게 해주시면 잘못 풀린 것들이 제거가 될 것입니다.
chattr, lsattr 루트도 지우지 못하는 파일을 설정한다. chattr [옵션] [+=-속성] [파일명] [옵션] -V: 파일속성을 바꾼 다음에 보여줌 -R: 하위 디렉토리까지 재귀적으로 바꿈 [속성] a: 파일을 추가모드로만 열수 있다. 단, vi편집기로는 내용을 추가 할 수 없다. c: 압축되어 있는 상태로 저장함 d: dump명령을 통하여 백업받을 경우 백업받지 않음. i : 파일을 read-olny로만 열 수 있게 설정한다. 링크도 허용하지 않고 루트만이 이 속성를 제거할 수 있다. 속성를 추가 할때는 "+속성" 속성를 제거할 때는 "-속성" "=속성"를 사용할 경우 현재의 속성는 제거되고 오직 "=속성"로 설정된 속성만 적용된다. * lsattr 이라는 명령으로 파일의 chattr 속성를 확인할 수 있다. ---------------------------------------------------------------------- 예) file1에 i 속성를 추가할 때 chatr +i file1 예) 파일의 chattr 속성 확인 [root@ezvil log]# lsattr messages -----a------- messages 예) a 속
#passwd -l 아이디 "아이디" 사용자는 패스워드에 락이 걸림으로써 어떠한 패스워드로도 인증을 받을 수 없다. FTP, SSH, TELNET은 접속이 불가능. 단, 웹과 DB는 정상적으로 운영된다. 해제하기 #passwd -u 아이디
서버에 문제가 생겨 일반 사용자들의 접속을 못하도록 조치할때 유용 일반사용자 서버접속 금지하기 #/etc/nologin 파일을 생성한다. 파일이 생성된 이후부터는 일반사용자는 서버에 접속하질 못한다. 단순히 파일이 있는것 자체만으로 접속을 못하게된다. nologin 파일에는 서버점검중임을 적어두면 일반 사용자가 접속할때 nologin 파일안의 내용이 뿌려지게 된다. 단, root만은 접속할 수 있다. 하지만 일반 사용자로 로긴한 후 root로 접속한다면 일반사용자로 접속을 하지 못하기때문에 서버에 접속할 수 없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root로만 접속이 가능함을 명심하기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