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andFirefoxInternet ExplorerOperaBackShift+Scroll downShift+Scroll downShift+Scroll downClose TabMiddle-click on Tab 1Feature Not AvailableShift+Left-clickDecrease Text SizeCtrl+Scroll upCtrl+Scroll upCtrl+Scroll upForwardShift+Scroll upShift+Scroll upShift+Scroll upIncrease Text SizeCtrl+Scroll downCtrl+Scroll downCtrl+Scroll downNew TabDouble-Click on Tab BarFeature Not AvailableDouble-Click on Tab BarOpen in Background TabCtrl+Left-click 2 Middle-clickFeature Not AvailableCtrl+Shift+Left-click Middle-clickOpen in Foreground TabCtrl+Shift+Left-click 2 Shift+Middle-click 2Shift+Left-clickO
# 한대의 리눅스에서 여러개의 IP주소 할당하여 사용하기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 파일을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0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1 과 같은 방식으로 복사한다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1 파일을 수정하는데 DEVICE=eth0:1로 수정하고 IPADDR=설정하려던 아이피로 수정한다. 네트워크를 재시작하면 완료. 두개, 세개의 아이피를 동시에 사용하려면 위와 같은 방식으로 계속 추가하면 되겠다. 추가한 아이피를 삭제할 경우엔 해당 이더넷을 다운시키면 된다. ifconfig eth0:0 down 으로 삭제할 수 있다.
ftp 기본 함수 list ftp_alloc / ftp_cdup / ftp_chdir / ftp_chmod / ftp_close / ftp_connect / ftp_delete ftp_exec / ftp_fget/ ftp_fput / ftp_get_option / ftp_get / ftp_login / ftp_mdtm ftp_mkdir / ftp_nb_continue / ftp_nb_fget / ftp_nb_fput / ftp_nb_get / ftp_nb_put ftp_nlist / ftp_pasv / ftp_put / ftp_pwd / ftp_quit / ftp_raw / ftp_rawlist /ftp_rename ftp_rmdir / ftp_set_option / ftp_site / ftp_size / ftp_ssl_connect / ftp_systype
XCache http://xcache.lighttpd.net/
vi 색깔 나오게 하기 yum -y install vim-enhanced vi /root/.bashrc alias vi='vim'
ls 명령어 주요 옵션 사용형식 : ls [옵션] [디렉토리] [파일] -R : 지정 디렉토리 하위까지 표시 -r : 출력결과 정렬시 내림차순 정렬(Descending) -S : 파일 사이즈가 제일 큰 것 부터 정렬 -l : 파일 나열시 자세한 출력 -a : 경로안의 모든 파일 나열 ('.'으로 시작하는 파일도 동일) -A : 출력결과중에 . .. 제외 -h : 파일사이즈 용량단위(MB)를 붙여서 출력
# httpd 소스 설치 tar xvfpz httpd-2.0.63.tar.zcd httpd-2.0.63 # apache + 64bit problemrm -f configurerm -f srclib/apr-util/configure./buildconf ./configure --prefix=/opt/webapps/apache2 --enable-so --enable-ssl --with-ssl=/usr --enable-lib64 --libdir=/usr/lib64 --enable-cache --enable-deflate --enable-proxy --enable-mem-cache --enable-expires --enable-rewrite --enable-mods-shared=mod_rewrite --enable-security --with-module=proxy:mod_security.c makemake install mkdir /var/log/httpdchmod 711 /opt/webappschmod 755 /opt/webapps/apache2chmod 644 /opt/webapps/apache2/conf/*chmod 600 /opt/
mysql replication 동기화 늦어지는 문제 skip-networking 옵션값을 off시켜야 한다. # etc/my.cnf 파일에서 아래처럼 주석처리 하면 된다. #skip-networking
# SQL처리 시 Temporary Table이 디스크에 사용되지 않도록 해야한다.# Temporary Table 현황 모니터링# Created_tmp_files 이 많다면 tmp_table_size를 늘려주기mysqladmin -uroot -p extended-status -r -i 1 | grep -E 'Created_tmp|--' 일부 쿼리는 Temporary Table을 메모리에 사용하지 않고 디스크를 바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쿼리 자체를 수정하여 디스크를 사용하지 않도록 해야겠다. 임시 꼼수로.통계성 쿼리 질의 전에 세션 변수 설정(2G로 할당)을 한 후 해본다. 디스크 사용을 줄이기 위한 목적이지만 쿼리 자체를 수정하는게 더 좋은 방법임.set session tmp_table_size = 2 * 1024 * 1024 * 1024;set session max_heap_table_size = 2 * 1024 * 1024 * 1024;
http://cafe.naver.com/q69/7850 php로 mail함수를 이용하여 메일을 보낼때 10만건 이상의 메일을 루프문을 이용해 보내게 되면 메일을 처리할 수 있는 Queue의 용량을 초과하게된다 --------------------------------------------------------------- $result = mysql_query("select name, email from user", $db) while($row = mysql_fetch_row($result)) { . . . mail(.....) } --------------------------------------------------------------- 위와 같은 구조로 메일을 보내게 되면 일정량 이상의 메일을 발송할 때에 Sendmail 데몬에서 처리할 수 있는 메일 큐의 한도가 초과되어서 죽어버립니다. 이럴 때 Sendmail의 설정을 변경해서 처리할 수 있는 메일수를 늘린다던지....Script를 따로 만들어 mail queue를 생성해서 전송한다던지 하는 방법도 있겠지만... 이럴때 간단히 if문을 하나 추가하는것으로 20만건정도의 메일을 하루정도의 시간으로
온라인 거래처리(OLTP ; OnLine Transaction Processing) 여러과정(또는 연산)이 하나의 단위 프로세스로 실행되도록 하는 프로세스 ex) 과정 1 : 철수의 계좌에서 50,000원을 감소시킨다 과정 2 : 현금을 인출해 준다. 과정 3 : 명세표를 출력해준다 이와같은 과정은 하나의 단위로 이루어져야 함 트랜잭션 : 데이터베이스 일관성을 보존하는 프로그램 실행단위 트랜잭션의 속성 원자성 : 하나의 트랜잭션을 구성하는 단위작업들은 모두 수행되든지 아니면 모두 수행되지 않아야 함 일관성 : 하나의 트랜잭션이 수행되었을 때, 그 트랜잭션은 데이터베이스 일관성을 보전해 주어야 함 고립성 : DBMS가 여러 트랜잭션을 동시에 수행시키는 경우에도 트랜잭션들은 서로 상호 간섭을 받지 않아야 함 지속성 : 트랜잭션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었다면 설사 해당 변경 내용이 디스크상에 반영되기 전에 시스템 장애가 일어나더라도 트랜잭션의 완료 효과는 계속적으로 유지 되어야 함 트랜잭션 명령문 BEGIN TRAN[SACTION] [<트랜잭션 이름>] : 트랜잭션 시작 명시COMMIT TRAN[SACTION] [<트랜잭션 이름>] :
etc/hosts 파일은 localhost의 리졸버들이 사용하는파일이다 'localhost의 리졸버'의 의미는 localhost의telnet, mozilla, ftp, stmp, ... 등등 localhost가 원격의 어떤호스트에 접속하기 위해서 '호스트->IP'로 변환해 주는 테이블입니다.원격의 호스트가 사용하지 않고 localhost의 모든 리졸버가 사용하고실시간으로 변경된 /etc/hosts 파일을 확인해서 사용합니다. dns서버의 질문하여 목적지를 찾기전에 /etc/host 파일에 목적지 도메인주소의 ip주소를 입력해놓으면먼저 hosts파일의 내용을 참조한다. [root@web etc]# cat hosts# Do not remove the following line, or various programs# that require network functionality will fail.127.0.0.1 web localhost.localdomain localhost::1 localhost6.localdomain6 localhost6[root@web etc]# ll hosts-rw-r--r-- 1 root root 191 N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