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드블록 검사하기 # badblocks -s /dev/sda3 이렇게하면 결과값을 바로 화면에 뿌려준다. 배드블록을 검사하여 지정한 파일로 결과값 저장하기 # badblocks -v -o badblock.txt /dev/sda3 이렇게하면 결과값을 badblock.txt 파일을 생성하여 저장한다. -o 옵션을 주게 되면 지정된 파일에 결과를 저장한다
vi 에서 여러줄 주석 설정 및 해제하기 # 주석 설정하기 - v로 비주얼 블럭 선택 - :norm i주석 예) :norm i// (주석 // 이 추가된다) 예) :norm i# (주석 # 이 추가된다) # 주석 해제하기 - v로 비주얼 블럭 선택 - :norm x주석
서론memcached는 고속의 분산형 Memory Cache이며, 주로 DB에의 참조 결과를 Cache, 웹시스템에 있어서의 성능향상을 위해 많이 사용된다. 웹시스템에 있어서의 부하대책서버의 구성을 살펴본다.Scale Out (서버의 수를 늘린다)Scale Up (CPU/Memory 등의 하드웨어를 향상시킨다)OS/Middleware의 설정을 살펴본다.네트워크구성을 살펴본다.어플리케이션 로직을 살펴본다.위의 대책 중에 DB서버에의 대책에는 데이터의 배치, 데이터 액세스방법을 어떻게 구현했는지가 문제가 된다.DB서버에의 부하를분산 (DB파티션팅 등의 기술을 사용해 Scale Out)DB서버에 있어서의 쓸때없는 처리를 줄인다. (DB Query를 다시 살펴본다)바로 memcache가 위의 문제가 될 수 있는 곳의 해결책이 될 수 있을 것 같다. memcached에 의한 성능향상파일 입출력 (File I/O)가 줄어듬파일의 내용을 캐쉬해 둠으로써 파일 입출력에 의한 부하가 줄어든다.세션정보의 공유유져의 세션정보를 캐쉬해 둠으로써, 복수의 아팟치서버사이의 세션정보를 공유한다.memcached의 캐쉬 방식분산형memcache서버 자체에는 분산장치을 가지고 있지않다.
# samba 계정 추가하기 adduser -d /home2/manage managesmbpasswd -a manage /etc/init.d/smb stop/etc/init.d/smb start
# xen 레퍼런스 모음 http://www.howtoforge.com/centos_5.0_xen [##_1C|1043856286.docx|style="width: 90px; height: 30px; border: 2px outset #796; background-color: #efd; background-repeat: no-repeat; background-position: center center; background-image: url('/image/extension/unknown.gif')"|_##][##_1C|1317063161.docx|style="width: 90px; height: 30px; border: 2px outset #796; background-color: #efd; background-repeat: no-repeat; background-position: center center; background-image: url('/image/extension/unknown.gif')"|_##]
# mysql 소스 설치 tar xvfpz mysql-5.0.83.tar.gzcd mysql-5.0.83 useradd -M -r -d /var/lib/mysql -s /bin/bash -c "MySQL Server" -u 27 mysql./configure --prefix=/opt/webapps/mysql5 --localstatedir=/var/lib/mysql5 --with-thread-safe-client --with-client-ldflags=-all-static --with-mysqld-ldflags=-all-static --enable-thread-safe-client --without-debug --without-docs --without-bench --with-charset=utf8 --with-language=korea --with-extra-charsets=all --with-plugins=innobase makemake install mv my.cnf /etc/my.cnfmv mysqld.log /etc/logrotate.d/mysqldmv mysqld_5 /etc/init.d/mysqld chmod 700 /etc
mms 스트리밍을 위한 방화벽 설정 80포트와 mms 스트리밍을 위한 1755포트를 오픈해야 한다.
[콘솔에서 커넥션수 알아내기] # mysqladmin -u root -p 비밀번호 | grep max_connection | max_connections | 100 [mysql에서 커넥션수 알아내기] show variables like '%max%';
mysql strict mode off 구동 스크립트에서 "start" 부분에 off 옵션을 넣는다. $bindir/mysqld_safe --sql-mode="" --datadir="$datadir" ~~~~~~~~~~
# ============================= #!/bin/sh for i in $(seq 1 60) do 명령어 sleep 1 done # ============================= 60번 실행되는 스크립트 =============================================== cron을 초단위로 실행시켜야 할 경우 cron을 1분마다 실행시키고 스크립트에서 60번 실행하여 1초마다 실행되는 것처럼 구현한다. 프로그램을 수정하여 1분을 균등하게 분할할 수 있다.
# vdelivermail은 메일 서버상에 존재하지 않는 계정으로 오는 메일에 대해 메일에 대해 어떤메일로 받을지 설정하는 명령어 # 기본값 | /vpopmail-디렉토리/bin/vdelivermail '' bounce-no-mailbox # 포워딩 하는 경우 admin@test.com 으로 모두 받아보려면 다음과 같이 수정 한다. | /vpopmail-디렉토리/bin/vdelivermail '' admin@test.com # 삭제하는 경우 존재하지 않는 계정으로 오는 메일을 삭제 하려면 ~vpopmail/domains/virtual_domain/.qmail-default 파일을 다음과 같이 수정 | /vpopmail-디렉토리/bin/vdelivermail '' delete # 포워딩 존재하지 않는 계정으로 오는 메일을 다른 도메인으로 보내려면 ~vpopmail/domains/virtual_domain/.qmail-default 파일을 다음과 같이 수정 | /vpopmail-디렉토리/bin/vdelivermail '' $EXT@newdomain.com
ext3와 ext4 파일 시스템 차이점 ext4는 ext3와 비교하여 아래와 같은 개선된 기능이있다.1. 더 큰 파일시스템 2. extends(큰 파일 처리를 개선히고 조각화 현상을 줄여준다) 3. 영속적인 선행 할당.(디스크 공간을 프로그램이 실제로 사용하기 전에 할당해야 한다면 대부분의 파일 시스템은 앙직 사용하지 않은 공간에 0을 기록함으써 선행 할당을 하지만, ext4는 이렇게 하지않고도 선행할당가능.) 4. 저널 자료 체크섬ext3파일 시스템에 없었던 저널 체크섬 기능이 추가되어 파일시스템 손상 가능성이 더 줄어들었습니다. 5. 더 많은 하위 디렉토리서브디렉토리 개수 제한이 32000개에서 64000개로 늘어남 6. 온라인 조각 모음ext3에서는 지원하지 않던 온라인조각모음을 지원한다. 7. 파일 복구 8. 빠른 파일 시스템 점검ext4는 디스크검사를 할때 사용하지 않는 부분은 건너뜀으로써 시스템 검사를 빨리 할수 있다. 9. 나노초 타임 스탬프타임스탬프가 초 단위가 아닌 나노초 단위로 재어지며, ext2,ext3에서는 1901년 12월 14일~2038년 1월18일을 지원했지만 ext4에서는 1901년 12월14일~2514년 4월25일을 지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