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r/local/bin/memcached -p 11211 -m 64m -d -m 64m : use 64mb memory -p 11211 : use port 11211 -d : background execute -h : 명령어 도움말 -w : debuging mode
출처 : http://www.linuxchannel.net/docs/ethernet-channel-bonding.txt [제목] Ethernet Channel Bonding by ifenslave-여러개의 이더넷을 하나로 묶어 네트워크 대역폭을 늘리는 방법- 작성자 : 김칠봉 <san2(at)linuxchannel.net> 2001. 06. 30 : 최초작성 2001. 09. 27 : 보완(강성일<sikang@casaturn.kaist.ac.kr>님의 지적)- 관련 문서 /usr/src/linux-2.2.x/Documentation/network/bonding.txt(커널 문서) 또는 /usr/share/doc/iputils-xxx/README.ifenslave(iputils-xxx 패키지)*주)이 문서는 /usr/share/doc/iputils-xxx/README.ifenslave 문서를 기준으로작성되었습니다.* 잘못된 점이나 보완하고자 하는 내용이 있으면 언제든지 환영합니다. 이 문서에 대한 이후 보완된 점은 다음의 주소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http://www.linuxchannel.net/docs/ethernet-channel-
php 컴파일시 에러 - Can't figure out your VCS, not cleaning root@web:/opt/install/php-5.2.13# ./buildconf --force Forcing buildconf buildconf: checking installation... buildconf: autoconf version 2.59 (ok) buildconf: Your version of autoconf likely contains buggy cache code. Running vcsclean for you. To avoid this, install autoconf-2.13. Can't figure out your VCS, not cleaning. 해결방법 yum install autoconf213 export PHP_AUTOCONF="/usr/bin/autoconf-2.13" export PHP_AUTOHEADER=/usr/bin/autoheader-2.13 끝~~
# gd 소스 설치 tar xvfpz gd-2.0.33.tar.gzcd gd-2.0.33./configure --prefix=/opt/webapps/gd makemake install
출처는 http://www.ysy2080.com/uribury/1170 NFS? NFS는 Network File System의 약어로 다른 호스트에 있는 파일 시스템의 일부를 자신의 디렉토리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 즉 하나의 서버에 디스크를 집중 관리하고 그것을 공유하여 나머지 시스템들이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 1) nfs설정을 시작하기전에 nfs패키지들이 설치되어있는지 확인해보자 rpm -qa portmap rpm -qa nfs-utils 대부분 설치되어있으며, 설치가 안되어있을경우 간단히 yum install portmap nfs-utils 2)portmap과 nfs를 시작한다 /etc/init.d/portmap start /etc/init.d/nfs start ※반드시 portmap부터 시작 후 nfs를 시작해야 된다 nfs부터 시작 할 경우 NFS 쿼터를 시작 중: 서비스를 등록할 수 없습니다: RPC: 받을 수 없음; errno = 연결이 거부됨 rpc.rquotad: unable to register (RQUOTAPROG, RQUOTAVERS, udp 에러메시지 출력됨 3) NFS 서버의 공유 목록을 관리하는 파일은 /etc
출처 : http://blog.naver.com/cubebridge?Redirect=Log&logNo=20096666579 변별력이 떨어지는 index는 insert의 성능을 크게 저하시킵니다. 변별력이 떨어지는 index란? index의 분포가 좋지 않은 것으로 칼럼의 값이 하나의 값으로 몰려있거나 적은 수의 값이 많은 량의 데이터를 차지하는 경우입니다. 테스트현황:500만건의 데이터를 변별력이 없는 index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와 변별이 있는 index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로 나줘 TPS와 QPS를 비교한 결과를 바탕으로 설명합니다.측정수단: cubrid broker status -b로 TPS,QPS를 확인합니다.테이블 상태: 1. 테이블에 index 3개가 설정되어 있습니다.2. PK, UNIQUE, FK 키가 있으며, FK가 참조하고 있는 테이블은 단 하나의 값('0')을 가지고 있습니다.3. insert문이 수행 될수록 FK칼럼에 값은 계속적으로 '0'이 입력되도록 되어있습니다.변별력 없는 FK가 있는 상태로 진행(FK는 index이다.) 테스트 시작:JDBC를 이용하여, insert문 데이터를 500만건이 입력되도록 설정합니다.초기(REQ
cubrid 특정 테이블 unloaddb, loaddb 명령어 사용법 # 특정 테이블 unloaddb 하기백업하고자 하는 디비명을 파일에 기록하고 명령어를 수행하면 된다. cubrid unloaddb -i 파일명 데이터베이스명 # 특정 테이블 loaddb 하기스키마와 인덱스를 제외한 오브젝트 파일만 loaddb 하면 된다. cubrid loaddb -u dba -d mynews3_ezyecono_objects mynews3_solo
#!/bin/bash # df 파티션 85% 이상시 메일 보내기 set -x df |sed /Filesystem/d|awk '$5 >= 85 {print $5,$6}' > /root/dflist x=`awk '{print NR}' /root/dflist` if [ $x -le 1 ] then echo `hostname >> /root/dflist` # echo $x mail jrsim@nayana.com < /root/dflist fi exit 0
forgetMe! ID : admin P/W : forgetMe! 콘솔로 접속한다.
큐안의 메일을 안전하게 삭제하거나 메일로그에 아래와 같은 에러가 날 경우 큐디렉토리를 재성해주면 된다. Nov 21 08:17:04 mail4 qmail: 1227223024.310137 warning: trouble opening remote/3/114704; will try again later Nov 21 08:17:09 mail4 qmail: 1227223029.310112 warning: trouble opening remote/7/114708; will try again later Nov 21 08:17:16 mail4 qmail: 1227223036.310032 warning: trouble opening remote/21/114699; will try again later Nov 21 08:17:25 mail4 qmail: 1227223045.309963 warning: trouble opening remote/3/114704; will try again later Nov 21 08:17:30 mail4 qmail: 1227223050.309918 warning: trouble opening remote/15/114693; will try ag
rpm 명령어 : rpm 패키지를 설치, 삭제, 관리하는 명령어이다. 형식 rpm [-옵션] [파일] 옵션 -i : 이전버전이 설치되어 있을 경우 설치하지 않는다. -v : 설치중 메시지를 출력한다. -h : 진행과정을 #으로 표현한다. -U : 설치되어 있는 패키지를 업그레이드 설치 할때 사용 -e : 패키지를 삭제한다. -q : 패키지가 설치되어 있는지 검색한다. 설치되어잇다면 이름과 버젼 출력 -qi : 현재 설치된 패키지의 간략한 정보 출력 -qa : 현재 설치된 모든 패키지의 목록을 찾는다. -ql : 현재 설치된 패키지의 간략한 정보와 설치된 파일을 출력한다. -Vf : 현재 설치된 파일을 검증한다. -Va : 전체 패키지를 검증한다. ------------------------------------------------------------------------------------------------------ yum 명령어: 인터넷을 통하여 rpm패키지가 저장된 서버에 접속하고 설치하고자 하는 rpm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한다. 의존성을 가지는 rpm패키지까지 알아서 다운로드한다. 형식 yum [-옵션] [모드][ 패키지명] 옵션 -y : 설치
cd+enter : 로그인해 있는 해당 사용자의 홈디렉토리로 이동한다. cd .+ enter : 현재 디렉토리를 의미한다. cd .. + enter : 현재 디렉토리의 상위디렉토리를 의미한다. .[파일명or디렉토리명] : 숨은 파일의 속성을 가진다. ls-al 명령어를 실행해야 보인다. [root@web /]# ls -al drwxr-xr-x 29 root root 4096 Jan 12 12:42 . drwxr-xr-x 29 root root 4096 Jan 12 12:42 .. -rw-r--r-- 1 root root 0 Jan 12 12:40 .autofsck > : 수정(기존의 내용을 지우고 입력함. 덮어쓰기)>> : 추가 (기존의 내용 뒷부분에 추가로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