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M이란 apache , php , mysql의 앞자를 다서 말하는 것으로apache는 브라우져에 연동할수있게 하는 웹서버를 말한다. php는 mysql의 데이터 베이스를 apache에 뿌려주어 사용자가 눈으로 볼수있게 만들어주는 웹프로그래밍 언어다.mysql 은 데이터 베이스를 의미한다. apm을 이용한 웹서버 구축과정configure : 환경 설정을 하는 명령어로 컴파일할때 옵션을 넣거나하여 사용된다make : 소스 파일을 컴파일하는 과정. 컴파일이란 사용자가 소스파일을 실행가능한 상태로 만들어 주는 과정이다.make install : make 과정에서 컴파일후 생성된 설치파일을 실행하여 설치하는 과정이다. rpm -qa | grep httpdrpm -qa | grep mysql rpm -qa | grep php 등의 명령어 이용으로 기존에 라이브러리설치되어 있던 apm이 있는지 확인한다.rpm -e 명령으로 기존 apm을 삭제한다. 다운로드 받을 사이트나 다운로드 받고난후 저장할 디렉토리먼저 확인.생성 한다. wget "$DOWN_DIR/httpd-x.x.x.tar.z # 설치할 아파치 소스의 압축파일을 다운로드 한다.tar xvfpz htt
httpd.conf 파일 문법 검사 : apachectl configtest
[root@push06 dev]# cat /proc/scsi/scsiAttached devices:Host: scsi0 Channel: 00 Id: 00 Lun: 00 Vendor: ATA Model: Hitachi HDS72105 Rev: JP2O Type: Direct-Access ANSI SCSI revision: 05Host: scsi1 Channel: 00 Id: 00 Lun: 00 Vendor: ATA Model: Hitachi HDS72105 Rev: JP2O Type: Direct-Access ANSI SCSI revision: 05 <SATA 일때>[root@push06 ~]# smartctl -i /dev/sdasmartctl 5.42 2011-10-20 r3458 [x86_64-linux-2.6.18-348.16.1.el5] (local build)Copyright (C) 2002-11 by Bruce Allen, http://smartmontools.sourceforge.net === START OF INFORMATION SECTION ===Device Model: Hitachi
프로세스의 상태를 확인하는 명령어 사용형식 : ps [옵션] # ps -ef -e : 모든 프로세스 표시 -f : 전체 경로로 프로세스 표시 # ps -f -U USERID -u USERID 계정이 USERID인 사람으로 실행되는 프로세스 보기 # 계정 메모리 실사용량 확인 ps -o user,pid,rss,comm --sort -rss -u 계정명 # 계정 메모리 실사용량합계 ps -o rss -u 계정명 | awk '{sum+=$0} END {print sum}
## GD 라이브러리 설치 cd /usr/local 1. gd 파일을 다운받는다. 2. 압축을 해제한다. 3. 압축 해제한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LIBS="-lpthread" LDFLAGS="-lpthread" CFLAGS="-O3 -funroll-loops -mcpu=i686 -march=i686 -fomit-frame-pointer" CXXFLAGS="-O3 -funroll-loops -mcpu=i686 -march=i686 -fomit-frame-pointer" ./configure --prefix=/usr/local/gd make make install
http://www.linux-vs.org/whatis.html lvs에 대해서 자세히 나와있음. lvs설치시 필히 참고하기
YUM을 이용한 Redhat 패키지 관리 YUM (Yellowdog Updater Modified)을 통한 Redhat 계열 서버 관리. 리눅스 서버 관리자나 IT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가장 큰 적은 바로 "귀찮음" 이다. 거의 매일같이 나오는 프로그램의 취약성 / 오래된 패키지들의 업데이트 들은 정말 필요하지만, 귀찮은 작업이 아닐수 없다. 윈도우의 windows updates처럼 자동으로 패키지를 관리해주면서, 필요한 업데이트를 받을수있다면 하는 생각을 하는 리눅스 관리자들이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나마 Freebsd, gentoo 등의 OS들은 나름대로의 패키지 관리자가 따로 있어 패키지의 업데이트및 설치를 쉽게 할 수 있어 왔으며, 이것은 그들 OS만의 큰 장점으로 자리매김해 오고 있었지만, 설치2및 사용이 일반 Redhat계열의 리눅스에 비해 어렵고, 이들 OS에 대한 자세한 메뉴얼이나, 도움을 얻을수 있는곳이 별로 없어 국내에서는 많이 사용 되고 있지는 않다. 국내에 많이 배포된 linux중에서는 Redhat이 있다. 전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어, 트러블 슈팅 등 많은 정보를 손쉽게 얻을수 있는 장점은 있었으나, 전문화된
리눅스 채널본딩 방법을 배포판별로 정리 Redhat 계열 debian 계열 gentoo 계열 Redhat 계열 관련문서 http://wiki.kldp.org/Translations/html/Cluster_QuickStart-KLDP/Cluster_QuickStart-KLDP-13.html http://www.linuxchannel.net/docs/ethernet-channel-bonding.txt /usr/share/doc/iputils-xxx/README.ifenslave(iputils-xxx 패키지)
Is this ok [y/N]: y Downloading Packages Getting kernel-2.4.21-63.EL.i686.rpm kernel-2.4.21-63.EL.i686. 100% |=========================| 7.9 MB 09:56 warning: rpmts_HdrFromFdno: V3 DSA signature: NOKEY, key ID 025e513b Error: Could not find the GPG Key necessary to validate pkg /var/cache/yum/update/packages/kernel-2.4.21-63.EL.i686.rpm Error: You may want to run yum clean or remove the file: /var/cache/yum/update/packages/kernel-2.4.21-63.EL.i686.rpm Error: You may also check that you have the correct GPG keys installed centos 기준으로 설명합니다. 우선 배포판 확인하기 cat /etc/*release 해결하기 배포판이 3.x 일 경우 :
kernel: ip_conntrack: table full, dropping packet ip_conntrack 모듈에서 연결 추적을 기록하는 테이블의 객수 제한때문에 생긴다.ip_conntrack table 가득차서 발생. # ip_conntrack table 확인방법cat /proc/net/ip_conntrack 해결하기================================================================== # 계산하기(32비트)CONTRACK_MAX = RAMSIZE(단위: byte) / 16384 / ( x / 32) HASHSIZE = CONNTRAK_MAX / 8 = RAMSIZE(단위: byte) / 131072 / (x / 32) CONTRACK_MAX = 2048M * 1024 * 1024 / 16384 * 32 = 131072 * 32 = 4194304HASHSIZE = CONNTRAK_MAX / 8 = 4194304 / 8 = 524288, # 계산하기(64비트)CONTRACK_MAX = RAMSIZE(단위: byte) / 16384 / ( x / 64) HASHSIZE = CONNTRAK_MAX / 8 =
pvcreate /dev/xvdb1 vgcreate nidap01-lv /dev/xvdb1 lvcreate -L 20G -n NID1 nidap01-lv mkfs.ext3 /dev/nidap01-lv/NID1 mount /dev/nidap01-lv/NID1 /usr/sap/NID /dev/nidap01-lv/NID1 /usr/sap/NID ext3 acl,user_xattr 1 2 volume group확인: pvdisplay /dev/sdb5logical volume확인: lvdisplay -v /볼륨그룹명 volume group활성화: vgchange -a y /볼륨그룹명 root@ns2:/b# lvdisplay lotusport --- Logical volume --- LV Name /dev/lotusport/root VG Name lotusport LV UUID DHefTA-d2xi-nm9H-tLgV-ifbg-MAM5-nzKwXb LV Write Access read/write LV Status available # open 1 LV Size 293.84 GB Cur
큐브리드 설치후 시작할때 아래와 같은 에러가 날 경우 에러) root@ora:/opt/install# cubrid service start cubrid: error while loading shared libraries: libncurses.so.5: cannot open shared object file: No such file or directory 해결방법) libncurses라는 라이브러리를 찾지 못해서 에러가 난 경우다 root@ora:/opt/install# ldd /var/lib/cubrid820/bin/cubrid linux-gate.so.1 => (0xffffe000) libcubridsa.so.8 => /var/lib/cubrid820/lib/libcubridsa.so.8 (0xf6aeb000) libstdc++.so.6 => /usr/lib/libstdc++.so.6 (0xf6a13000) libncurses.so.5 => not found libpthread.so.0 => /lib/tls/libpthread.so.0 (0xf6a01000) libdl.so.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