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pm 명령어 : rpm 패키지를 설치, 삭제, 관리하는 명령어이다. 형식 rpm [-옵션] [파일] 옵션 -i : 이전버전이 설치되어 있을 경우 설치하지 않는다. -v : 설치중 메시지를 출력한다. -h : 진행과정을 #으로 표현한다. -U : 설치되어 있는 패키지를 업그레이드 설치 할때 사용 -e : 패키지를 삭제한다. -q : 패키지가 설치되어 있는지 검색한다. 설치되어잇다면 이름과 버젼 출력 -qi : 현재 설치된 패키지의 간략한 정보 출력 -qa : 현재 설치된 모든 패키지의 목록을 찾는다. -ql : 현재 설치된 패키지의 간략한 정보와 설치된 파일을 출력한다. -Vf : 현재 설치된 파일을 검증한다. -Va : 전체 패키지를 검증한다. ------------------------------------------------------------------------------------------------------ yum 명령어: 인터넷을 통하여 rpm패키지가 저장된 서버에 접속하고 설치하고자 하는 rpm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한다. 의존성을 가지는 rpm패키지까지 알아서 다운로드한다. 형식 yum [-옵션] [모드][ 패키지명] 옵션 -y : 설치
cd+enter : 로그인해 있는 해당 사용자의 홈디렉토리로 이동한다. cd .+ enter : 현재 디렉토리를 의미한다. cd .. + enter : 현재 디렉토리의 상위디렉토리를 의미한다. .[파일명or디렉토리명] : 숨은 파일의 속성을 가진다. ls-al 명령어를 실행해야 보인다. [root@web /]# ls -al drwxr-xr-x 29 root root 4096 Jan 12 12:42 . drwxr-xr-x 29 root root 4096 Jan 12 12:42 .. -rw-r--r-- 1 root root 0 Jan 12 12:40 .autofsck > : 수정(기존의 내용을 지우고 입력함. 덮어쓰기)>> : 추가 (기존의 내용 뒷부분에 추가로 입력)
/etc/fstab 파일의 구조 [파일시스템장치명] [마운트포인트] [파일시스템종류] [옵션] [dump 관련설정] [파일점검옵션] [파일시스템장치명] /dev/sda1, /dev/sda2 등 (장치명 대신 레이블명도 씀) [옵션] defaults : rw, nouser, auto, exec, suid 속성을 가짐 auto : 부팅시 자동마운트 (⇔ noauto) exec : 실행파일이 실행되는걸 허용 suid : SetUID, SetGID 사용 허용 (⇔ nosuid) ro : 읽기전용 사용 rw : 읽고 쓰기 사용 user : 일반 유저도 마운트 할 수 있게 함 (⇔ nouser) [dump 관련설정] 1 : dump 명령 가능, 0 : dump 명령 불가 [파일점검옵션] 0 : 부팅시 fsck 실행 안됨 1 : 루트파일시스템 2 : 루트파일시스템 이외의 파일시스템
마운트는 리눅스 시스템에 사용하기를 원하는 특정장치를 시스템에 인식시키는 작업 다시말해서 특정장치를 특정디렉토리로 연결시킴 # 마운트 정보 보기 ① [root@ ~] cat /etc/mtab ② [root@ ~] mount # DVD, CD-ROM 마운트 DVD와 CD-ROM의 파일시스템은 iso9660이라는 파일시스템타입을 사용 * 사용형식 : mount -t [파일시스템타입] [장치명] [마운트포인트] ex) mount -t iso9660 /dev/cdrom /media/cdrom /media/cdrom 디렉토리에서 CD-ROM에 저장된 파읽 볼 수 있음 # 언마운트 마운트된 장치명을 마운트 해제 시킴 * 사용형식 : umount [마운트포인트] ex) umount /media/cdrom ※ 마운트 되어 있는 디렉토리 내부에서는 언마운트 사용 불가 # 읽기만 가능하게 마운트하기 [root@~ ]# mount -r # 읽기 쓰기 모두 가능하게 마운트하기 [root@~ ]# mount -w # 윈도우에서 사용하던 파일시스템 마운트하기 * 사용형식 : mount -t vfat [장치명] [마운트포인트] # USB 메모리 마운트하기 장치명확인(fdisk -l)
mii-tool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고, 랜카드의 속도와 duplex 모드(전이중, 반이중모드)를 변경, 자동감지설정(autonegotiation)의 ON/OFF를 설정 할 수 있다. [root@push06 ~]# mii-tool eth0: negotiated 100baseTx-FD, link ok eth1: negotiated 100baseTx-FD, link ok eth0은 100MB의속도로 전이중모드로 설정되어 정상적(link ok)으로 사용되고 있다. -v 상세하게 확인 할 수 있다. -w 실시간으로 연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R 기본설정대로 Mii를재설정한다 -r autonegotiation 설정을 재시작한다 autonegotiation으로 두 장비간의 연결 속도와 duplex 모드를 자동으로 맞추게 되지만 제대로 되지 않아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나 원하는 속도로 변경을 해야할 때 사용한다. 예) 100MB, Full duplex 모드로 변경 [root@push06 ~]# mii-tool -F 100baseTx-FDeth0 autonegotiation - 상대의 NIC 를 확인하여 자신의 NIC 속도와 D
configure에 --with-jpeg --with-png가 있으면 관련 라이브러리를 찾습니다. 그러나 lib64를 사용하는 경우 관련 라이브러리가 /usr/lib가 아니라 /usr/lib64에 있게 되어 찾지를 못한다. make시에 에러 남 가장 간단한 해결책은 configure시에 위치를 아래와 같이 지정하고 --with-jpeg-dir=/usr/lib64 --with-png-dir=/usr/lib64 /usr/lib64에서 아래의 명령으로 심볼링크를 걸어두면 된다 /usr/lib64]# ln -s /usr/lib64 lib /usr/lib64]# ln -s /usr/include include
# cpio 파일 압축풀기 cpio -idmv < file.cpio [옵션] -i : cpio로 백업한 data를 restore 한다 -d : restore중 필요한 디렉토리를 자동으로 생성시킨다. -m : 백업 되있는 data들의 날짜, 시간을 그대로 유지한다. -v : verbose
출처 : http://wiki.heedy.pe.kr/index.php/Memcached 1 서론 2 memcached의 캐쉬 방식 3 memcache의 인스톨 4 memcache의 기동 5 memcache의 동작확인 서론 memcached는 고속의 분산형 Memory Cache이며, 주로 DB에의 참조 결과를 Cache, 웹시스템에 있어서의 성능향상을 위해 많이 사용된다. 웹시스템에 있어서의 부하대책 서버의 구성을 살펴본다. Scale Out (서버의 수를 늘린다) Scale Up (CPU/Memory 등의 하드웨어를 향상시킨다) OS/Middleware의 설정을 살펴본다. 네트워크구성을 살펴본다. 어플리케이션 로직을 살펴본다. 위의 대책 중에 DB서버에의 대책에는 데이터의 배치, 데이터 액세스방법을 어떻게 구현했는지가 문제가 된다. DB서버에의 부하를분산 (DB파티션팅 등의 기술을 사용해 Scale Out) DB서버에 있어서의 쓸때없는 처리를 줄인다. (DB Query를 다시 살펴본다) 바로 memcache가 위의 문제가 될 수 있는 곳의 해결책이 될 수 있을 것 같다. memcached에 의한 성능향상 파일 입출력 (File I/O)가 줄어듬 파일의 내용
배포판별 네트워크 본딩 http://mar.gar.in/ybgwon/linux%252Bbonding
rsync를 이용하여 특정 디렉토리 제외하고 동기화 할 때 rsyncd.conf 설정법 # 설정 예 [home] path = /home comment = /home exclude = /user/www.user.com/data/userdata/ <= 이 부분을 추가하면 된다. uid = root gid = root use chroot = yes read only = yes hosts allow = 192.168.0.34 timeout = 600 exclude를 추가시 디렉토리 경로는 path 경로를 제외하고 넣어준다.
# libmcrypt 소스 설치 tar xvfpz libmcrypt-2.5.7.tar.gzcd libmcrypt-2.5.7./configure --prefix=/opt/webapps/libmcrypt makemake install
mkdir /root/opensslcd /root/opensslwget rpm.lhb.kr/ktds/openssh/openssl-1.0.1c.tar.gztar xvfpz openssl-1.0.1c.tar.gzcd openssl-1.0.1c ./config --prefix=/usr/local/openssl --openssldir=/usr/local/openssl no-zlib no-asm threads no-shared no-idea no-mdc2 no-rc5 make dependmakemake testmake inst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