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xen 레퍼런스 모음 http://www.howtoforge.com/centos_5.0_xen [##_1C|1043856286.docx|style="width: 90px; height: 30px; border: 2px outset #796; background-color: #efd; background-repeat: no-repeat; background-position: center center; background-image: url('/image/extension/unknown.gif')"|_##][##_1C|1317063161.docx|style="width: 90px; height: 30px; border: 2px outset #796; background-color: #efd; background-repeat: no-repeat; background-position: center center; background-image: url('/image/extension/unknown.gif')"|_##]
출처 : http://www.ioncannon.net/system-administration/80/how-to-transfer-linux-from-virtualbox-to-xen/ There have been times recently when I wanted to pull a VirtualBox Linux instance I had into Xen. I kept thinking it had to be fairly easy but I kept putting off trying it until recently when I ran into something I wanted to install from a CD image into an Amazon EC2 AMI. It turns out the main hurdle in transferring an image is lack of documentation. I'm using VirtualBox 2.1.0 so some of the following commands may not work with older versions. I learned the hard way that they have changed a numb
yum으로 update 안될 경우 # 에러 ---> Package python-libs.x86_64 0:2.4.3-43.el5 set to be updated addons/filelists | 197 B 00:00 base/filelists_db | 4.0 MB 00:00 extras/filelists_db | 225 kB 00:00 updates/filelists_db | 1.2 MB 00:00 --> Finished Dependency Resolution gcc-gnat-4.1.2-48.el5.i386 from installed has depsolving problems --> Missing Dependency: libgnat = 4.1.2-48.el5 is needed by package gcc-gnat-4.1.2-48.el5.i386 (installed) gcc-gnat-4.
시스템 하드웨어 정보 보기 파일 업로두 후 make만 수행하면 된다. 컴파일 후 실행파일은 lshw-B.02.15/src 안에 있다. ./lshw : 서버정보 전체보기 ./lshw -short : 서버정보 간략하게 보기 ./lshw –businfo : bus에 대한 자세한 정보 확인 ./lshw -html > system.html : html 페이지로 만들기 ./lshw -help : 옵션 보기 [##_1C|8517759422.gz|style="width: 90px; height: 30px; border: 2px outset #796; background-color: #efd; background-repeat: no-repeat; background-position: center center; background-image: url('/image/extension/unknown.gif')"|_##]
INFO: task mysqld:24715 blocked for more than 120 seconds. "echo 0 > /proc/sys/kernel/hung_task_timeout_secs" disables this message. mysqld D ffffffff80150939 0 24715 2442 24718 24712 (NOTLB) ffff81000fd03e18 0000000000000086 0000000000000074 ffffffff80225c04 00000000ffffffda 000000000000000a ffff810073667820 ffff810037e57860 00054ecb31e59901 000000000001991f ffff810073667a08 0000000700000000 Call Trace: [<ffffffff80225c04>] sock_aio_read+0x4f/0x5e [<ffffffff800646ac>] __down_read+0x7a/0x92 [<ffffffff80066ad0>] do_page_fault+0x446/0x874 [<ffffffff800a0b5f>]
# yum으로 i?86 패키지 전체 삭제하기yum remove *.i?86 # i386 패키지 전체 삭제하기yum remove *.i386 /etc/yum.conf 파일에 ?86 패키지를 업데이트나 설치시 사용하지 않도록한다.exclude = *.i?86
# 리눅스 공유 메모리 세그먼트 확인ipcs -m 세그먼트 크기(bytes)만 뽑기ipcs -m | awk '{print $5}' | egrep "[0-9]" # 리눅스 공유 메모리 설정하기echo 2147483648 > /proc/sys/kernel/shmmax vi /etc/sysctl.confkernel.shmmax = 2147483648
mms 스트리밍을 위한 방화벽 설정 80포트와 mms 스트리밍을 위한 1755포트를 오픈해야 한다.
// mysql root password 등록 [root@linux mysql]# mysql -u root -p mysql Reading table information for completion of table and column names You can turn off this feature to get a quicker startup with -A Welcome to the MySQL monitor. Commands end with ; or g. Your MySQL connection id is 1 to server version: 4.0.23-Max Type 'help;' or 'h' for help. Type 'c' to clear the buffer. mysql> update user set password=password('비밀번호입력') where user='root'; Query OK, 2 rows affected (0.00 sec) Rows matched: 2 Changed: 2 Warnings: 0 mysql> flush privileges; <== mysql 재시동 Query OK, 0 rows affected (0.00
mysql 루트 암호를 잊어 버렸을때 재설정 하기 ① mysql 데몬을 죽인다. ② 권한을 무시하도록하는 옵션을 줘서 mysql 데몬을 다시 실행 # safe_mysqld --skip-grant-tables & ③ mysql 서버에 접속 (암호 없이 접속이 가능) # mysql -u root ④ update 로 mysql 패스워드 변경 mysql> update user set password=password('새로운 비밀번호') where user='root';
1. TABLE 생성 CREATE TABLE mytable ( no INTEGER NOT NULL, name CHAR(15) NULL ); 2. PRIMARY KEY 생성 ALTER TALBE mytable ADD ( PRIMARY KEY (no)); 3. FOREIGN KEY 생성 ALTER TABLE mytable ADD( FOREIGN KEY (no) REFERENCES name ); 4. PK RENAME ALTER INDEX SYS_C00555 RENAME TO PK_no; 5. FOREIGN KEY 는 물려있는 글중에 상위글이 지워지면 하위글도 지워지는 쿼리 ON DELETE CASCADE 추가. 미 추가시 삭제할때 에러발생 ALTER TABLE mytable ADD( FOREIGN KEY (no) REFERENCES mytable on delete cascade );
ora-00000 성공적인 정상 종료입니다. ora-00001 유일성 제약조건(%s.%s)에 위배됩니다. ora-00017 트레이스 이벤트 설정이 세션에 요구되었습니다. ora-00018 최대 세션 수를 초과했습니다. ora-00019 최대 세션 라이선스 수를 초과했습니다. ora-00020 최대 프로세스 수(%s)를 초과했습니다. ora-00021 세션이 다른 프로세스에 첨부되어 있음; 세션을 변경할 수 없습니다. ora-00022 부적절한 세션 번호; 액세스가 거절되었습니다. ora-00023 세션이 프로세스 고유의 메모리를 참조함; 세션을 분리할 수 없습니다. ora-00024 단일 프로세스 모드에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가 로그인할 수 없습니다. ora-00025 %s에 메모리를 할당하는데 실패했습니다. ora-00026 누락 혹은 부적합한 세션 번호 ora-00027 현 세션을 제거할 수 없습니다. ora-00028 세션이 제거되었습니다. ora-00029 사용자 세션이 아닙니다. ora-00030 사용자 세션 id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ora-00031 세션이 중단될 것입니다. ora-0
큐브리드 설치후 시작할때 아래와 같은 에러가 날 경우 에러) root@ora:/opt/install# cubrid service start cubrid: error while loading shared libraries: libncurses.so.5: cannot open shared object file: No such file or directory 해결방법) libncurses라는 라이브러리를 찾지 못해서 에러가 난 경우다 root@ora:/opt/install# ldd /var/lib/cubrid820/bin/cubrid linux-gate.so.1 => (0xffffe000) libcubridsa.so.8 => /var/lib/cubrid820/lib/libcubridsa.so.8 (0xf6aeb000) libstdc++.so.6 => /usr/lib/libstdc++.so.6 (0xf6a13000) libncurses.so.5 => not found libpthread.so.0 => /lib/tls/libpthread.so.0 (0xf6a01000) libdl.so.2 =>
# 큐브리드 에러 코드 error code = -81 # 큐브리드 버전 : 8.2.2 # 에러내용 Time: 05/12/10 19:43:18.316 - FATAL ERROR *** ERROR CODE = -81, Tran = 2, CLIENT = (unknown):(system)(-1), EID = 1 Internal error: logical log page 1121169 may be corrupted. *** The previous error message is the last one. *** 논리적인 문제로 페이지가 손상된 상황으로 보여짐 백업된 데이터를 확인하여 restoredb로 복구가 가능함 복구시 메세지 시간을 파악하고 -d 옵션으로 안정된 시간으로 복구하면 된다. 데이터는 손실될 수 있으니 먼저 백업받으면 좋음 # 명령어 예 cubrid restoredb -d 05-11-2008:10:58:00 --level 0 -p 디비명
출처 : http://blog.naver.com/cubebridge?Redirect=Log&logNo=20096666579 변별력이 떨어지는 index는 insert의 성능을 크게 저하시킵니다. 변별력이 떨어지는 index란? index의 분포가 좋지 않은 것으로 칼럼의 값이 하나의 값으로 몰려있거나 적은 수의 값이 많은 량의 데이터를 차지하는 경우입니다. 테스트현황:500만건의 데이터를 변별력이 없는 index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와 변별이 있는 index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로 나줘 TPS와 QPS를 비교한 결과를 바탕으로 설명합니다.측정수단: cubrid broker status -b로 TPS,QPS를 확인합니다.테이블 상태: 1. 테이블에 index 3개가 설정되어 있습니다.2. PK, UNIQUE, FK 키가 있으며, FK가 참조하고 있는 테이블은 단 하나의 값('0')을 가지고 있습니다.3. insert문이 수행 될수록 FK칼럼에 값은 계속적으로 '0'이 입력되도록 되어있습니다.변별력 없는 FK가 있는 상태로 진행(FK는 index이다.) 테스트 시작:JDBC를 이용하여, insert문 데이터를 500만건이 입력되도록 설정합니다.초기(RE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