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대방 컴퓨터의 이름을 알 수 있다. nbtstat -a 아이피 로컬 영역 연결: Node IpAddress: [조회자 아이피] Scope Id: [] NetBIOS Remote Machine Name Table Name Type Status ------------------------------------------- 네트워크이름 <00> UNIQUE Registered 네트워크이름 <20> UNIQUE Registered 그룹이름 <00> GROUP Registered 그룹이름 <1E> GROUP Registered MAC Address = 00-00-00-00-00-00
배드블록 검사하기 # badblocks -s /dev/sda3 이렇게하면 결과값을 바로 화면에 뿌려준다. 배드블록을 검사하여 지정한 파일로 결과값 저장하기 # badblocks -v -o badblock.txt /dev/sda3 이렇게하면 결과값을 badblock.txt 파일을 생성하여 저장한다. -o 옵션을 주게 되면 지정된 파일에 결과를 저장한다
디렉토리 압축 zip -rF "저장파일명.zip" " 디렉토리 및 파일명" -r : 서브디렉토리까지 압축 -F : 한글파일을 포함하여 압축 압축해제 unzip 파일이름.zip
서론memcached는 고속의 분산형 Memory Cache이며, 주로 DB에의 참조 결과를 Cache, 웹시스템에 있어서의 성능향상을 위해 많이 사용된다. 웹시스템에 있어서의 부하대책서버의 구성을 살펴본다.Scale Out (서버의 수를 늘린다)Scale Up (CPU/Memory 등의 하드웨어를 향상시킨다)OS/Middleware의 설정을 살펴본다.네트워크구성을 살펴본다.어플리케이션 로직을 살펴본다.위의 대책 중에 DB서버에의 대책에는 데이터의 배치, 데이터 액세스방법을 어떻게 구현했는지가 문제가 된다.DB서버에의 부하를분산 (DB파티션팅 등의 기술을 사용해 Scale Out)DB서버에 있어서의 쓸때없는 처리를 줄인다. (DB Query를 다시 살펴본다)바로 memcache가 위의 문제가 될 수 있는 곳의 해결책이 될 수 있을 것 같다. memcached에 의한 성능향상파일 입출력 (File I/O)가 줄어듬파일의 내용을 캐쉬해 둠으로써 파일 입출력에 의한 부하가 줄어든다.세션정보의 공유유져의 세션정보를 캐쉬해 둠으로써, 복수의 아팟치서버사이의 세션정보를 공유한다.memcached의 캐쉬 방식분산형memcache서버 자체에는 분산장치을 가지고 있지않다.
원격데스크탑 포트 변경하기 1. 시작-실행-regedit 2.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Terminal ServerWdsrdpwdTdstcp 에서 PortNumber REG_DWORD 0x00000d3d(3389) 값을10진수를 선택하고 다른 포트번호(8888)을 입력한다. 3. 위와 동위치..Terminal SErverWinStationsRDP-Tcp 에서 PorNumber REG_DWORD 0x00000d3d(3389) 값을 10진수를 선택하고 다른 포트번호(8888)을 입력한다. 4. 재부팅(Win2003의 경우) 후 ip:포트번호 형식으로 접속
Windows APM 설치가이드 ◆ 설치할 소스 apache_2.0.48-win32-x86-no_ssl.msi (http://httpd.apache.org/download.cgi) php-4.3.11-Win32.zip (http://www.php.net/downloads.php) mysql-4.0.24-win32.zip (http://dev.mysql.com/downloads/) ZendOptimizer_2.5.0 (http://www.zend.com/store/free_download.php) 윈도우 XP에서 APM 설치방법입니다. NT 계열은 여기서 디렉토리 이름이나 경로만 조금씩 바꿔주면 됩니다. 반드시 지정한 버전의 파일만 다운 받으시기 바랍니다. 타버전은 연동 안될 수 있습니다. APM을 설치하면서 한줄씩 써내려갔기 때문에 확실합니다. 이대로만 따라하시면 됩니다. ▧▧▧▧▧▧▧▧▧▧▧▧▧▧▧▧▧▧▧▧▧▧▧▧▧▧▧▧▧▧▧▧▧▧▧▧▧▧▧▧▧▧▧▧▧▧▧▧▧ 1. mysql 설치 유닉스 계열과는 달리 윈도우에서는 mySQL 설치가 아주 간단하다. next만 클릭하면 된다. :) dev.mysql.com/downloads/ 에 접속하면 프로그램을 다운받을 수
mms 스트리밍을 위한 방화벽 설정 80포트와 mms 스트리밍을 위한 1755포트를 오픈해야 한다.
/etc/fstab 파일의 구조 [파일시스템장치명] [마운트포인트] [파일시스템종류] [옵션] [dump 관련설정] [파일점검옵션] [파일시스템장치명] /dev/sda1, /dev/sda2 등 (장치명 대신 레이블명도 씀) [옵션] defaults : rw, nouser, auto, exec, suid 속성을 가짐 auto : 부팅시 자동마운트 (⇔ noauto) exec : 실행파일이 실행되는걸 허용 suid : SetUID, SetGID 사용 허용 (⇔ nosuid) ro : 읽기전용 사용 rw : 읽고 쓰기 사용 user : 일반 유저도 마운트 할 수 있게 함 (⇔ nouser) [dump 관련설정] 1 : dump 명령 가능, 0 : dump 명령 불가 [파일점검옵션] 0 : 부팅시 fsck 실행 안됨 1 : 루트파일시스템 2 : 루트파일시스템 이외의 파일시스템
DSO(Dynamic Shared Object)방식 특정모듈을 추가로 설치할 때 아파치를 재 컴파일 하지 않고 모듈을 추가 할 수 있다. Static 방식에 비해 응답속도가 느릴 수 있다. 필요할때에만 시스템에 load되었다가 사용이 다하면 unload되므로 시스템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한다 설치 : ./configure --enable-so 확인 : httpd -l | grep mod_so.c 추가모듈 사용 방법 ① module 디렉토리에 모듈파일 넣기 ② 아파치 환경설정에서 모듈지정 ex) LoadModule php5_module(모듈명) modules/libphp5.so(위치) php일때는 AddType지시자 지정 Static방식 특정모듈을 추가로 사용하려면 아파치를 재 컴파일 한다. 아파치를 실행하면 모듈을 사용하든 안하든, 추가된 모든 모듈들이 시스템에 load된다. 응답속도가 DSO방식보다 빠를 수 있다. 시스템 자원을 낭비한다. DSO 방식을 사용하기를 권장한다
암호 인증을 위해 설정해야할 내용들 1. httpd.conf 파일의 암호인증 허용설정 2. 암호인증할 디렉토리내에서의 .htaccess 파일 생성 3. 암호인증할 사용자들의 ID와 암호가 저장된 .htpasswd 파일 생성 4. 웹브라우저에서 암호인증 테스트 5. 로그인 사용자 추가 생성 1. httpd.conf 파일의 암호인증 허용설정 <Directory "/home/www/public_html"/> AllowOverride AuthConfig // AuthConfig 값 설정 </Directory> AccessFileName .htaccess // 인증파일로 사용할 파일 설정 2. 암호인증할 디렉토리내에서의 .htaccess 파일 생성 암호인증을 하고자하는 디렉토리내에 vi로 생성 (/home/www/public_html/.htaccess) ① 특정 유저들만 인증하기 위한 방법 AuthType Basic // 인증방식 (보통 Basic 사용) AuthName "Input Password" // 인증창 이름 AuthU
www.abcd.com/~kbs www.abcd.com/kbs ~ 없애려면 httpd.conf 파일에서 Alias /kbs/ "/home/www/kbs/" 추가
위치 : apache/bin/ root@abcd:~# ab www.linux.co.kr/ This is ApacheBench, Version 2.0.41-dev <$Revision: 1.121.2.12 $> apache-2.0 Copyright (c) 1996 Adam Twiss, Zeus Technology Ltd, http://www.zeustech.net/ Copyright (c) 2006 The Apache Software Foundation, http://www.apache.org/ Benchmarking www.linux.co.kr(be patient).....done Server Software: Apache/2.0.64 Server Hostname: www.linux.co.kr Server Port: 80 Document Path: / Document Length: 327 bytes // 초기문서 용량크기, 대부분 index.html 또는 index.htm Concurrency Level: 1 // 동시에 요청된 클라이언트 수 Time taken for tests
httpd -f 아파치설정 파일을 지정하여 실행 (하나의 아파치에 두개 이상의 설정파일을 용도별로 사용할때 유용) httpd -d 홈디렉토리를 지정하여 아파치 실행 (ServerRoot) httpd -v 버젼 확인 httpd -V 컴파일하여 설치한 설정내용 확인 httpd -l 설치되어 사용가능한 모듈 확인 httpd -L 설정지시자 확인 httpd -S 가상호스트 확인 httpd -t 문법 검사
CGI사용은 ScriptAlias로 지정된 위치에서 사용하는게 기본이지만, ExecCGI를 사용하면 지정된 디렉토리내에서 CGI 사용 허용* AddHandler cgi-script 지시자에서 정의한 확장자만 유효 아파치는 ScriptAlias에 설정되어 있는 디렉토리 안의 모든 파일을 html이 아닌 실행파일로 인식한다. 따라서 html이나 이미지 파일 등도 제대로 인식하지 않고 실행하려 한다. 또한 ScriptAlias로 설정된 디렉토리에서는 "*.cgi","*.pl" 등의 파일확장자도 필요치 않다. ScriptAlias로 설정되지 않은 디렉토리에서 스크립트를 실행하려면 *.cgi,*.pl 등만 스크립트 파일로 인식시켜야 한다. 아파치가 이것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AddHandler(httpd.conf) 이다. AddHandler cgi-script .cgi httpd.conf 파일 중에서 위와 같이 설정을 하면 서버의 모든 디렉토리에서 .cgi로 끝나는 모든 파일을 cgi로 인식하여 실행한다. 단, 주의할 점은 스크립트로 사용하려하는 디렉토리가 ExecCGI 옵션이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예)ScriptAlias를 이용한 일반적 설정(h
몇번 부팅레벨로 부팅할지 결정 /etc/inittab → id:3:initdefault: 부팅레벨 0 : 시스템종료 /etc/rc.d/rc0.d/ 부팅레벨 1 : 싱글모드(관리모드), 콘솔로그인만 가능하고 root만 사용함 /etc/rc.d/rc1.d/ 부팅레벨 2 : NFS 지원하지 않는 멀티유저 실행모드 /etc/rc.d/rc2.d/ 부팅레벨 3 : NFS 지원 멀티유저 실행모드 /etc/rc.d/rc3.d/ 부팅레벨 4 : 사용하지 않음 /etc/rc.d/rc4.d/ 부팅레벨 5 : X윈도우 환경 멀티유저 실행모드 /etc/rc.d/rc5.d/ 부팅레벨 6 : 재부팅 /etc/rc.d/rc6.d/ 부팅레벨 변경 : init 0~6 레벨 확인 : runlevel 부팅레벨기록 : runlevel